생활정보

초복 중복 말복 복날 날짜 유래 뜻 속담 음식 삼계탕 먹는 이유

새벽빛의 찬람함 2023. 7. 10. 22:29

초복 중복 말복 날짜 유래 뜻 음식 삼계탕 먹는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 !

 

 


초복 중복 말복 삼복의 의미

절기상 1년 중 길이가 가장 길다는 하지가 지난 후 초복이 있고 

그 다음 중복 그리고 입추가 지나서 말복이 있습니다. 이를 통틀어서 삼복 혹은 삼경일이라고 합니다.

 

1년 중 무더위의 시작인 초복이 2023년 7월 11일 화요일에 있습니다. 

초복, 중복, 말복 삼복의 의미로는 복자는 사람이 개처럼 엎드려 있는 형상으로 여름은 불에 속하고 가을은 쇠에 속한다고 합니다. 여름 불 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세번 굴복한다 라는 뜻으로 복종한다 라는 뜻의 복자를 써서 삼복이라고 합니다.

 

 

 유래

 

삼복은 중국 진나라때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진나라의 덕공이 음력 6월부터 7월 사이 세 번 여름 제사를 지내며 신하들에게 고기를 나누어준데에서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일년 중 무더위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시기여서 삼복더위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했습니다. 복날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 하여 삼계탕과 같은 탕류나 팥죽, 수박, 참외를 즐겨 먹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2023년 초복 중복 말복의 날짜

 

2023년 초복의 날짜는 2023년 7월 11일 화요일 입니다.

2023년 중복의 날짜는 2023년 7월 21일 금요일 입니다.

2023년 물복의 날짜는 2023년 8월 10일 목요일 입니다.

 

초복에 삼계탕을 먹는 이유

1. 보신의 의미 : 삼계탕은 건강과 기운을 도와주는 보신 요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름철인 복날에는 무더운 날씨로 인해 체력이 약해지고 피로한 상태인 사람들이 많을 수 있습니다. 삼계탕은 영양가가 높고 열을 식혀주는 효과가 있어서 체력 회복과 기운을 되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2. 도돈지심의 의미 : 복날에는 고난과 어려움을 겪은 사람들을 위해로하고 기운을 북돋우는 의미가 있습니다. 삼계탕은 기운을 되찾고 체력을 강화하는 음식으로 복날에 어려움을 겪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힘을 주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복날에 관련된 속담

대추나무는 삼복에 열매를 맺는데 이때 비가 오면 열매를 맺지 않는다고해서 복날 비가 오면 보은 처녀가 운다 라는 속담으로 복날 비가 오면 대추 흉년이 들어 가계가 어려워지므로 결혼하기 어려워진다는 뜻이 있습니다.

 

삼계탕 백숙 등 복날 음식을 먹게 되면서 여름동안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도 걸리지 않는다 라는 설이 있는데요. 

이는 실제로 무더위 땀을 흘리면서 근육 속 수분 과 미네랄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단백질과 미네랄이 많은 삼계탕과 백숙을 먹으라는 조상의 지혜가 있습니다.

 

이밖에도 약수에 머리를 감으면 풍이 없어지고 부스럼이 낫는다. 복날에는 아무리 더러워도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 등의 속설이 존재하고요. 삼복지간에는 입술에 붙은 밥알도 무겁다 라는 뜻으로 무더위로 몸의 기운이 약해져서 입술에 붙은 밥알도 무겁게 느겨찐다는 뜻의 속담도 있답니다.